
완도해양치유센터, 연말연시 이벤트 풍성
'2025 익산 함라 떡볶이 축제' 11월 29~30일 개최
고창 선운산유스호스텔, 힐링 명소로 재탄생...
광양시, 가을바람 타고 달리는 ‘섬진강자전거길-광양로드’
밀양시, 금빛 단풍 따라 떠나는 ‘금(金)길 미션투어’추진
송파구, 석촌호수 야경 속 ‘루미나리에 호수길’ 해설코스 신설
대구음식산업박람회·커피&카페페스타 11.27.~29 동시 개최
완도군, 슬로시티 청산도, ‘단풍길 소풍’ 행사 개최
함양군, 관광도로 지정 기념 ‘지리산 풍경길 스탬프 투어‘ 운
어느덧 가을이 부쩍 다가옴을 느낄 즈음에 교동도를 찾았다. 이곳 교동도는 일반인에게 어쩌면 낯선 곳이다. 강화도 최북단 섬인 탓에 검문 초소를 통해서 출입할 수 있는 곳이고, 한국전쟁 직후 북한 피난민들이 모여 형성된 마을은 육지의 색을 많이 입지 않은 까닭이다. 지금부터 이곳 교동도에 머무는 사람들의 머물러 있는 이야기를 전해 보고자 한다.
교동 고구저수지
이곳에서 북한과는 불과 3Km 내외이기 때문에 강화도에서 교동대교를 건너면 교동도 여행을 위해 검문 및 등록을 해야 한다. 검문초소를 지나면 처음으로 마주치는 곳이 고구저수지이다.
1
2
1
고구저수지 전경과 포토포인트
2
고구저수지에 피어 있는 연꽃 풍경
고구저수지는 제법 큰 저수지이자 낚시터로도 유명한데, 저수지에 형성된 수초와 파란 하늘의 조화가 확연하게 보인다. 하늘이 예쁜 가을 이곳은 사진을 몇 장이고 남기게 될 훌륭한 포토포인트로 모자람이 없다. 저수지 한쪽에는 하얗고 분홍색을 띤 연꽃들이 일대를 덮고 있어 지나치기 아쉬운 마음을 갖게 한다.
과거에서 시간이 멈춘 교동 대륭시장
교동도에는 1960년대 재래시장의 모습을 간직한 대룡시장이 있다. 이곳은 요즘 보기 힘든 제비집이 있는가 하면, 낡은 다방, 이발관 등은 이 시장의 오랜 역사를 말해준다. 낡고 허물어진 그대로의 벽, 주인이 떠난 시계방은 문이 잠긴 채로 시간이 멈춰버렸다. 시장 거리를 돌다 보면 과거 60~70년대 거리의 벽보가 그때 그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1
2
3
1
교동 대룡시장의 통일주막
2
교동이발관
3
교동 대룡시장 벽보 풍경
시장 중앙 한복판에는 통일주막이 있다. 통일주막 문에는 ‘어서 오시겨’라는 강화도 사투리가 새겨져 있는데, 주막을 찾는 여행객들에게 막걸리 한잔과 함께 향토의 구수함을 선사한다. 통일주막의 이름에서 느끼듯 한국전쟁 직후로 시간이 멈춘 듯한 대룡시장. 전쟁의 아픈 역사 속, 살기 위한 치열함이 머물렀던 이곳에는 지금 거쳐 가는 사람들만큼 얼마나 많은 사연이 있었던 걸까?
노랗게 물들어 가는 교동향교
1
2
3
1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 교동향교
2
유학을 강학하던 강당, 명륜당
3
유자의 제사를 지내던 문묘, 대성전
교동도 하면 떠오르는 곳이 교동향교이다. 교동향교는 고려 충렬왕12년(1286년) 안향이 원나라에서 공자상을 들여와 모셨다는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이다. 지금은 ‘살아 숨 쉬는 향교, 서원’ 사업의 일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교동향교에서 눈에 띄는 것은 교통향교 앞 해바라기와 황화코스모스 군락지이다. 지금은 해바라기와 코스모스가 층층 계단에 활짝 피어 노랗게 물들어 가는 교동향교를 볼 수가 있다.
교동 연산군유배지
1
2
1
연산군유배지가 있는 고구리안치소
2
연산군유배행렬 및 안치소 풍경
연산군유배지는 중종반정(1506년)으로 폐위된 연산군이 경복궁을 나와 교동현 고구리 안치소에 안치되었을 당시 나인 4명, 내시 2명, 반감 1명, 당상관 1명이 호송하던 모습을 사료에 근거하여 복원한 장소이다. 이곳에는 연산군유배지 문화관인 별도의 건물이 있는데 아직 준비가 안 되었는지 닫혀있다.
한성 방어를 위한 삼도수군통어영지 교동 남산포구

삼도수군통어영지가 있던 교동도 남산포구 전경
남산포구는 간간히 낚시하는 사람들과 나들이 나온 사람들만 보이는 한적한 포구이지만 조선시대에는 삼도수군통어영지가 있던 곳이다. 조선 인조7년(1629년)에 한성 방어를 위해 남양 화량진에 설치되어 있던 경기 수영을 교동도로 옮긴 다음 인조11년에는 3도(경기, 황해, 충청) 수군 통어영을 교동 남산포 서쪽 해안에 설치하였던 곳이다. 이곳에는 수군을 훈련하던 훈련장 및 정박 시 배를 묶어 두던 계류석 1기가 있다.

[트래블티켓] 먼 바다 승진호 탑승권
바라보는 바다가 아닌, 낚시 하는 바다의 재미를 한가득 느낄 수 있는 여행 티켓! ‘먼 바다 승진호 탑승권’! 낚싯배 승진호에서 낚시를 즐기며, 갓 잡은 물고기 회와 해산물 라면을 먹는 재미! 바로 바다 낚시의 묘미를 인천 바다에서 경험헤볼 수 있습니다. 덕적도를 넘어 굴업도와 백아도, 울도, 소령도, 목덕도 등을 항해하는 인천 앞바다의 풍경은 특별한 여행에 대한 추억을 선사합니다~^^
상품 보러 가기
글 트래블투데이 지역 주재기자 왕재군
발행2018년 08월 31 일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2025 익산 함라 떡볶이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