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도해양치유센터, 연말연시 이벤트 풍성
'2025 익산 함라 떡볶이 축제' 11월 29~30일 개최
고창 선운산유스호스텔, 힐링 명소로 재탄생...
광양시, 가을바람 타고 달리는 ‘섬진강자전거길-광양로드’
밀양시, 금빛 단풍 따라 떠나는 ‘금(金)길 미션투어’추진
송파구, 석촌호수 야경 속 ‘루미나리에 호수길’ 해설코스 신설
대구음식산업박람회·커피&카페페스타 11.27.~29 동시 개최
완도군, 슬로시티 청산도, ‘단풍길 소풍’ 행사 개최
함양군, 관광도로 지정 기념 ‘지리산 풍경길 스탬프 투어‘ 운
18세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이자 한국 최대의 실학자로 꼽히는 다산 정약용 선생은 오랜 귀양살이를 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귀양살이는 그에게 좌절을 안겨 주기도 했지만, 학문에 더욱 매진하고 사회를 바로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성실함을 제일로 여겼던 정약용 선생은 귀양살이 중에도 인내와 노력을 통해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런 업적을 남겼던 곳 중 한 곳이 바로 강진이다.
조선 실학의 근거지, 다산초당
다산 초당은 강진만이 한눈에 굽어볼 수 있는 만덕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정약용 선생이 강진에서 18년간 유배하던 동안 10여 년 동안을 머물던 곳으로 그의 대표적인 학문적 업적이 탄생한 곳이다. 유명한 목민심서를 비롯하여 경제유표, 흠흠신서 등 500여 권에 달하는 조선 실학을 집대성한 유서 깊은 장소이다. 또한, 저술뿐만 아니라 제자들을 가르치기도 하였으니 조선 실학의 후학이 양성된 곳이기도 하다. 노후로 인해 많이 붕괴되었던 것을 1957년 복원해 지금의 모습에 이르렀다. 이곳에는 정약용 선생이 직접 ‘丁石’이라는 글자를 새긴 정석바위를 비롯하여 차를 끓이던 약수인 약천, 차를 끓이던 반석인 다조, 연못 가운데 조그마한 산처럼 쌓아 놓은 연지석가산 등 다산과 관련된 장소가 많다. 다산초당은 이러한 의미 외에도 주변의 자연경관이 아름답기로도 유명하니 너무 다산 정약용에 대해서만 얽매이기보다는 마음을 비우고 천천히 자연경관을 감상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1
2
3
4
1
2
3
4
다산이 10년 간 머물렀던 다산초당(위)과 다산기념관의 모습(아래).
다산 초당 인근에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한눈에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는 다산기념관이 자리 잡고 있다. 다산기념관에서는 선생의 영정을 비롯하여 다산연보, 가계도, 학통, 일생, 업적, 유물 등이 전시물과 패널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전시 공간이 입체감 있게 꾸며져서 그런지 더욱 생동감이 느껴지고 가슴에 와 닿는 듯하다. 이곳 기념관에서는 만남, 생애, 환생, 흔적이라는 네 가지 테마로 꾸며진 전시 공간을 만날 수 있으며, 영상실에서는 다산의 업적과 강진을 소개하는 각종 영상물들을 감상할 수 있다.
다산이 머물렀던 주막집, 사의재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와 처음 머물렀다고 전해지는 사의재 전경.
사의재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강진에 유배 와서 처음으로 묵은 곳으로 강진과 정약용의 인연이 시작된 곳이라 할 수 있다. 사의재(四宜齋)의 뜻은 ‘네 가지를 올바르게 하는 이가 거처하는 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네 가지란 생각, 용모, 언어, 행동을 뜻한다. 정약용은 언제나 이 네 가지를 바로잡아 모범을 보였다. 정약용은 이곳 주막집 주인 할머니와의 인연으로 4년 동안 골방 하나를 거처로 삼으며 지낼 수 있었다. 이곳에서 머무는 동안에는 몸과 마음을 새롭게 다 잡아 교육과 학문연구에 전념했다. 사의재는 2007년 다산실학 성지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복원되었으며, 현재는 옛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 민간에 위탁하여 파전, 동동주 등의 토속음식을 판매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정약용의 유배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소박한 소품들까지 상세히 꾸며져 있다.
정약용과 혜장이 교우한 곳, 고성사

정약용은 강진군에 귀양을 온 뒤, 고성사에서 혜장과 교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인 고성사는 1805년 강진군에 귀양 온 정약용이 머물며 혜장과 교우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사의재가 정약용이 강진에 온 뒤 처음으로 머물렀던 곳이라면, 고성사는 그에 이어 두 번째로 머물렀던 곳이다. 당시 '보은산방'이라는 초당을 짓고 기거했다고 한다. 현재 경내의 산신각 자리가 바로 보은산방의 자리라 전해진다. 정약용은 고성사가 발전해야 강진도 발전한다는 말을 했다고 하는데, 이 말은 지금도 강진에서 두고두고 회자되고 있다. 한편, 고성사라는 사찰의 이름은 산의 모습에서 유래했다. 고성사가 있는 보은산은 소가 누워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데, 고성사가 자리 잡은 곳이 바로 소의 목 아래 방울을 매다는 부분에 해당한다고 한다. 그 때문일까. 해 질 무렵, 고성사에 울려 퍼지는 종소리가 더욱 신비하면서도 그윽하게 들린다.

트래블아이 한마디
다산 정약용 선생의 흔적을 찾아보고 싶다면 강진군!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초당부터 강진에 와 맨 처음 머물렀던 사의재, 혜장과 조우했던 고성사까지! 다산의 생생한 흔적을 만나 보세요.
글 트래블투데이 심성자 취재기자
발행2022년 01월 10 일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2025 익산 함라 떡볶이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