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밥도둑 '김' - 우리나라 최초의 김 양식지를 찾아서, 국내여행, 여행정보

오른쪽으로 이동왼쪽으로 이동

전라남도 광양시 지역호감도

원조 밥도둑 '김' - 우리나라 최초의 김 양식지를 찾아서


한국인의 밥상에 흔히 오르는 까만 김. 입맛이 없을 때 바삭바삭한 김만 있으면 쌀밥 한 그릇을 뚝딱 비우기도 한다. 반질반질하고 까만 김은 어떤 재료를 넣어 돌돌 말아도 서로 어우러지게 만든다. 또한 별다른 조리 없이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는 것도 김의 특징이다. 우리는 언제부터 김을 먹게 되었을까? 우리나라 최초의 김 양식지인 광양 김 시식지에서 김의 역사를 알아보자.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된 김 시식지

  • 광양 김 시식지로 들어가는 해은문

광양 김 시식지로 들어가는 해은문

전라남도 광양시는 우리나라 최초로 김 양식을 시작한 곳이라는 역사가 있다. 원래 김 양식지는 광양 태인도에 있었는데 바다를 메우고 광양제철소가 생기며 자취를 잃게 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김 양식지 모습이 사라진 것이 아쉽다. 현재는 김 시식지 건물만이 옛 흔적을 간직하며 최초 김 양식지임을 기념하고 있다. 이곳은 전라남도 기념물 제113호로 지정되어 전라남도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해은문을 들어서면 영모재가 보인다.

해은문을 들어서면 만날 수 있는 영모재

해은문을 지나면 영모재가 보인다. 영모재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김을 양식한 김여익을 기리고자 세워졌다. 영모재 안에는 최초의 김 양식지임을 입증하는 기록이 비문, 등초로 남아 보관되어 있다. 이 비문은 1714년 당시 광양의 현감이었던 허담이 지은 묘표이며, 그 내용에 적힌 시식해의 우발해의(始殖海衣 又發海衣)란 글을 통해 이곳에서 김을 처음 양식했고 김 양식법을 창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김의 시작과 역사가 담긴 김 시식지 역사관

영모재 오른편으로는 역사관이 있고, 왼편으로는 기념비와 사적비가 세워져 있다. 영모재 왼편의 계단으로 올라가면 유물전시관이 있다. 흔히 먹던 음식의 족보를 찾아가는 기분이 든다. 김의 역사에 대해 알게 되면 한 장의 김도 다시 보며 감사히 먹는 재미가 있지 않을까.
 

  • 김여익 공의 위패 등이 있는 인호사의 모습

    1

  • 다양한 전시물이 담긴 김 시식지 유물전시관의 모습

    2

1

김여익 공의 위패 등이 있는 인호사의 모습

2

다양한 전시물이 가득한 김 시식지 유물전시관의 모습

유물 전시관 안에는 전통 김 양식 도구 32종 53점과 사진, 미니어처 등이 전시되어 있어 그 당시의 김 만드는 과정을 알 수 있었다. 과거에는 김 한 장 만드는 것이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었으며 널찍한 김발에 김을 말리면 김이 떨어지며 타닥타닥하는 소리가 났다고 한다. 요즘은 이런 풍경을 쉽게 볼 수 없다는 게 아쉽다. 유물전시관에 전시된 전통 김 양식 도구와 김 양식을 하는 사진들을 보며 이런 아쉬움을 달래본다. 유물전시관 뒤편으로는 김여익 공의 위패 등이 있는 인호사가 자리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로 김 양식을 시도한 김여익

  • 유물 전시관 안에는 김 양식에 관련된 도구들이 전시되어 있다.

    1

  • 김 양식 관련 도구들을 보며 과거 재래식 김 양식의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다.

    2

1

유물 전시관 안에는 김 양식에 관련된 도구들이 전시되어 있다.

2

김 양식 관련 도구들을 보며 과거 재래식 김 양식의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다.

김여익은 1606년 전남 영암군 서호면에서 김식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으나 조정이 항복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조상을 볼 면목이 없어 1640년부터 태인도에 살기 시작했다. 김여익은 바다에 떠다니던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걸 보고 착안해 김 양식을 시도했다고 한다.
 
김은 바다 깊은 곳에 사는 해초인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한국, 일본에서 즐겨 먹는다고 한다. 한국의 연안에서는 10월 무렵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겨울에서 봄에 번식하고, 여름에는 보이지 않는다. 김은 이전에는 그냥 버리거나 가축 먹이로 사용했다고 하는데, 현재 우리의 밥상에 올라오는 김은 김여익이 태안도에 살던 1640년에서 1660년경에 만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는 일본이 세계 최초의 김 양식 발상지라고 주장하고 있는 겐로쿠 시대(1688~1703)보다 훨씬 앞선 시기이다.
 
김여익은 소나무, 밤나무 가지를 이용한 김 양식 방법을 창안, 보급하였다. 김은 바위 등에 이끼와 같이 자란다고 해서 해의, 해태라고 불리기도 했다. 김여익은 또한 해의를 건조하는 방법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짚을 엮어 만든 김발 위에 해의를 고루 펴서 말린 뒤에 떼어내는 건조 방법을 개발했다. 김여익은 1660년에 생애를 마쳤다.
 
광양 김은 왕실에 바치는 특산물로 인기가 높았는데, 후에 김여익의 성을 따서 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해의가 김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왕이 태안도에 사는 김 씨가 만든 것이라 김이라 부르게 했다는 설이 있다. 광양 김은 일제 강점기에 공물로 나갈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고 한다. 현재는 김 시식지 유물관에서 자료로만 접할 수밖에 없다는 게 아쉽다.

 

광양의 김 역사와 관련된 행사

광양시에서 김 역사와 관련된 행사는 후손들이 지내는 김여익 공 시제와, 용지 큰줄다리기가 있다. 김여익 공 시제는 매년 음력 10월 10일 후손들이 김여익 공을 기리기 위해 지내고 있다. 또한 광양에서는 유일하게 김과 관련된 전통놀이인 용지 큰줄다리기를 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용지 큰줄다리기는 태인동 용지마을에서 300년간 전승되어 온 풍년을 기원하는 전통 놀이이다. 민속놀이로서 풍수지리설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줄다리기 시작 전에 용왕제에서 풍어와 태인도의 주 소득원인 김의 풍작을 기원하는 제례의식을 한다고 한다.

이렇게 광양은 한국 밥상의 단골 메뉴로 등장했던 김의 역사를 보존하고 후대에 전승하려는 노력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조선 시대부터 우리의 입맛을 돋워주었던 김.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김은 늘 우리의 식탁에서 빠지지 않을 것이고, 현재도 많은 사람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으며, 미래에는 더 많은 사람이 한국의 김 맛에 매료될 것이다.
 

영모재 옆에 세워진 묘비

1 / 3
  • 영모재 옆에 세워진 묘비
  • 김여익 공의 위패가 있는 인호사의 사적비
  • 김 시식지를 둘러볼 수 있는 지도
트래블아이 쫑마크
트래블아이 한마디 트래블아이 한마디
김의 역사와 관련된 행사가 있다는 것이 참 흥미롭습니다. 또한 광양 김 시식지를 방문하고 나니, 밥상에서 마주한 김을 새로운 시선으로 보게 되네요.

트래블투데이 지역 주재기자 이한별

발행2017년 08월 17 일자

  • 함께만드는 트래블아이
  • 마이페이지
  • 수정요청


트래블아이 여행정보 수정문의

항목 중에 잘못된 정보나 오타를 수정해 주세요.
수정문의 내용은 트래블아이 담당자에서 전달되어 검토 후에 수정여부가 결정되며 검토결과에 대한 내용은 메일로 전달드립니다. 검토 및 반영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이름(ID)
수정을 요청하는 정보항목
수정문의 내용입력 (필수)

내용중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기타문의는 고객센터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0 / 5,000자)

수정요청 닫기
확인 취소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주재기자

파워리포터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한줄리포터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

겨울에도 뜨거운 남이섬 ‘2025 Winter Wonder Nami Island’ 눈썰매장 개장, 국내여행, 여행정보 겨울에도 뜨거운 남이섬 ‘20
컨텐츠호감도
같은테마리스트 더보기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지역호감도

원조 밥도둑 '김' - 우리나라 최초의 김 양식지를 찾아서

7가지 표정의 지역호감도 여행정보, 총량, 콘텐츠호감도,
트래블피플 활동지수 지표화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 함께만드는 트래블아이
  • 마이페이지
  • 수정요청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