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도해양치유센터, 연말연시 이벤트 풍성
'2025 익산 함라 떡볶이 축제' 11월 29~30일 개최
고창 선운산유스호스텔, 힐링 명소로 재탄생...
광양시, 가을바람 타고 달리는 ‘섬진강자전거길-광양로드’
밀양시, 금빛 단풍 따라 떠나는 ‘금(金)길 미션투어’추진
송파구, 석촌호수 야경 속 ‘루미나리에 호수길’ 해설코스 신설
대구음식산업박람회·커피&카페페스타 11.27.~29 동시 개최
완도군, 슬로시티 청산도, ‘단풍길 소풍’ 행사 개최
함양군, 관광도로 지정 기념 ‘지리산 풍경길 스탬프 투어‘ 운
K-김밥 등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김 수출액이 2년 연속 1조 원을 달성하고 있는 가운데 인류 최초로 김을 양식한 광양김시식지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K-푸드 김에 대한 모든 것
1
2
1
김시식지 해은문
2
시식지 내 영모재, 인호사
김밥, 김부각, 김스낵 등 한국인의 식탁을 넘어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김을 인류가 생산의 영역으로 확장한 것은 4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오른다. 병자호란에 의병으로 활약하던 김여익은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은 것을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하던 중 해초가 바다에 떠다니는 나무에 걸리는 것을 목격했다. 이에 착안,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인 태인도의 이점을 살린 섶꽂이 방식의 양식법을 최초로 창안 보급하면서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했다. 인조는 수라상에 오른 김에 매료됐고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에 그의 성을 따 ‘김’이라 부르도록 했다는 스토리는 듣는 이의 흥미를 끈다.
광양시 김시식지 1길에는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창안한 김여익의 공과 그 역사를 기리는 광양김시식지가 있다. 광양김시식지는 김 역사관, 유물전시관 등을 갖추고 있으며 문화관광해설사의 깨알 같은 안내와 함께 김의 역사와 유래, 제조과정 등 김에 관한 모든 것을 한자리에서 알 수 있다.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여익의 후손들은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조상의 공을 기리고 있으며, 김의 풍작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가 300여 년 동안 이어지고 있다.
김성수 관광과장은 “자연의 영역을 생산의 영역으로 확장해 김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 역사를 기리는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을 최초로 양식한 창의공간이자 김 수출 1조 원 시대를 연 발원지”라면서 “광양김시식지를 찾아 그 장소가 갖는 역사와 의미를 되새기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광양김시식지는 설, 추석 등 명절 당일을 제외하고 연중무휴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되며, 문화관광해설사의 깊이 있는 해설이 방문객을 기다리고 있다.

트래블아이 한마디
'김'이라는 이름이 인류 최초 김 양식법 창안한 ‘김여익’의 성에서 유래했다니...'김'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김시식지를 방문해보세요. 문화관광해설사의 친절한 안내까지 더해 김에 관한 모든 것을 만날 수 있어요.
글 트래블투데이 심성자 취재기자
발행2024년 12월 04 일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2025 익산 함라 떡볶이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