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동산
- 부산광역시 연제구 -
어느 산에나 절하나 씩은 있습니다. 한참을 산을 오르다보면 어디선가 똑똑똑, 하는 목탁소리가 들려오고 고즈넉한 산 중턱에서는 스님을 만나도 이상할 것이 없지요. 게다가 사람들이 하나 둘 쌓아올린 돌탑은 이 근처에 절이 하나 있음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런 것 하나 없이 갑작스럽게 만난 도심의 절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부산 연제구 도심 속에 위치한 ‘혜원정사’인데요, 도심 속에서 수행이 잘 될까 싶은 이 곳! 오늘의 <트래블아이>미션은 ‘혜원정사에서 불교의 가르침을 느껴라!’입니다.
산이 울창하다고는 하지만, 이곳은 분명 도심 속이다. 시내를 지나 코너를 몇 번 돌지도 않았는데 만난 사찰이 바로 ‘혜원정사’란다.
“절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아요. 도심 속이어서 그런지 마음대로 확장하지 않은 채 자연과 조화를 이룬 모습이 보기 좋네요.”
“그래, 혜원정사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고 하니, 이미 도시가 들어찬 뒤의 절이어서 더 그런 듯싶구나. 이곳에 절을 창건한 사람이 과연 누구일까?”
산을 넘고 넘어, 맑은 공기를 한껏 들이마셔야 할 것 같은데, 산은커녕 돌계단도 오르기 전에 이미 절이 나타났다.
“입구에 병성 어린이집이 있네요. 절에서 직접 운영하는 유치원인가요?” “그렇다고 하는구나. 혜원정사에서는 어린이집, 복지관 등의 복지와 함께 포교활동을 겸하는 사회적인 베품을 실천하고 있단다.”
“꼭 저 어린이 집에서 동자승들이 뛰어나와 놀 것만 같아요!”
불교의 깨달음을 얻기 위한 세 가지 삼학이 있다는데, 그것이 바로 계, 정, 혜 이다. 그 것을 이루기 위해 세워진 곳이 바로 수행의 동산인 혜원정사이다.
“불교 신자가 참 많은 것 같아요. 기도를 하기 위해 찾는 시민들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을 보면 말이에요.”
“그래, 이곳은 24시간을 개방하는 만불전이 있어서 부산 시민들이 많이 찾는다고 하는구나. 하지만 사람들이 이곳을 찾는 이유는 따로 있지 않을까?”
석가의 삶은 어떠했을까? 그 궁금증을 풀어주는 불화가 하나 있다고 한다. 이미 문화재로 지정되어있는 현대 불화인 이것은 무엇일까?
“오래되지는 않았다고 하지만, 아무리 근대기 작품이라도 그 보존상태가 정말 좋은 것 같아요! 한국 미술의 중요한 사료가 되겠는걸요?”
“그래 맞단다. 게다가 8장으로 이루어진 석가의 생애는 각각의 이야기와 이름이 붙어있어 전통도상의 계승과 변화의 연구에도 큰 의미가 있는 문화재란다.”
명심전 상단으로 오르려 길을 걷자, 오솔길이 기다리고 섰다. 어찌나 푸르른지, 한 겨울이 되어도 절대 시들지 않을 것 같은 건강한 기분이다.
“도심 속 사찰은 조금 삭막하거나 비좁게 자리했을 줄 알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네요. 오히려 곳곳이 푸르게 빛나서 산 속에 있는 기분이에요.”
“그래, 잘 가꾸어진 나무들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꽃도 피어있으니, 꼭 불교신자가 아니더라도 찾아오기에 좋은 경치를 가진 듯하구나.”
낮은 산비탈에 선 사찰 곳곳은 그 가파름을 가로막은 채 선 해수관음상과 건물들이 있다. 그 모습이 참 조화롭다.
“대나무 숲 옆의 돌계단이 참 운치 있어요. 대나무 잎이 내려앉은 것이 가을 낙엽을 밟는 것만큼이나 기분 좋은 걸요?”
“이 돌계단을 올라가면 절에서 직접 관리하는 녹차밭이 있다고 하는구나.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자연을 직접 가꾸려는 혜원정사의 노력이 돋보이지 않니?”
도심의 작은 언덕과도 같은 묘봉산 아래의 절이기 때문일까? 그 능선을 따라 지어진 사찰의 모습이 독특하다.
“화장실에 가고 싶은데, 이렇게 올라오니 화장실이 없나 봐요.” “해우소를 말하는구나? 해우소는 절의 하단에 있단다.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시설들은 부처님을 모신 전각과는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해있다고 하는구나.”
“다시 내려가야 하다니. 다음에는 미리 해우소에 들렸다 구경을 해야겠어요.”
연등이 하늘을 가득 채웠다. 특별한 날이면 이렇게 혜원정사의 하늘이 가득찬다. 하지만 계단을 오르면 연등 위에 올라 선 듯한 색다른 기분을 선사한다.
“특별한 날에 찾기 좋은 곳인 것은 분명하네요. 도심에서 많이 떨어져 있지 않고, 조금만 나가면 부산의 관광명소도 구경할 수 있고. 조용해서 기도를 하기에도 좋구요.”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저마다의 소망을 가지고 온단다. 사실 이 절 안에 소원을 빌며 배를 만지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불상이 있다는데, 찾아보겠니?”
도심 한 가운데에 있는 혜원정사는 늘 멀리 있는 절을 찾아가야만 하는 불교신자들에게는 정말 좋은 곳이 아닐까 합니다. 하지만 도시적이지 않은, 고즈넉한 산을 배경으로 펼쳐진 채 자리하며 전통적인 불교의 가르침을 잃지 않은 곳이기도 하지요. 이곳에 들리면 스님의 죽비소리에 맞춰 조심스럽게 발걸음을 옮기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불교의 가르침 중 하나는 아닐까요? 여러분도 이 혜원정사에 들려 불교의 가르침을 배워보시길 바랍니다. 그 가르침은 인위적이지 않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진심일 테니까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2길 15, 393호 Tel: 02-408-9274 Fax: 02-595-9274
copyright (c) 문화마케팅연구소All rights reserved.